-

- 공지사항
- 입찰정보
- 계약정보
- 채용정보
- 보도자료
- 행사 및 홍보
보도자료
[보도자료] 조선시대 한글 서체, 문화데이터로 되살아난다
- 등록일2018-10-22 16:46
- 조회수2880
- 작성자 웹마스터
조선시대 한글 서체, 문화데이터로 되살아난다
- 한국문화정보원, 국립한글박물관과 업무협약(MOU) 체결
한국문화정보원(원장 이현웅)과 국립한글박물관(관장 박영국)와 9월 6일 국립한국박물관에서 신산업의 기반 문화데이터 구축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문화데이터"는 문화체육관광부 및 타 부처, 지자체에서 유하고 있는 유산, 예술, 체육, 관광, 한글, 문화재 등 다양한 문화 분야의 공공데이터를 의미한다. 한국문화정보원은 기관들이 보유한 문화유산을 AR, VR 등 신산업 분야를 비롯해 디자인 제작 등 다양한 방식으로 민간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문화데이터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올해는 국립한글박물관의 한글 서체사 DB 구축 사업이 그 대상 중 하나로 선정된 바 있다.
국립한글박물관은 15세기 훈민정음 창제 이후부터 19세기에 이르는 한글의 이미지(음절 단위)를 수집‧정리하는 중장기 사업으로 한글 서체사 DB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한국문화정보원은 올해 15세기 대표사료인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0(과 용비어천가 권8을 디지털 데이터화 하는 작업을 연말까지 지원하게 된다. 대상 사료에서 한글 서체 이미지의 윤곽선을 추출해 2D벡터이미지로 DB를 구축하게되며, 이를 통해 한글 이미지들을 폰트, 타이포그래피, 캘리그래피 등 다양한 서체 디자인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전면 개방하기로 했다.
구축된 데이터는 ‘문화데이터광장(https://www.culture.go.kr/data/main/main.do#main)을 통해 개방될 예정이며, 국립한글박물관에서 개발 중인 음절 검색 시스템을 반영한 디지털 한글박물관(archives.hangeul.go.kr)을 통해서도 서비스할 예정이다.
또한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문화자원의 공동활용과 문화데이터 활용 확산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일반 기업들이 우리의 고유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 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상호 보유한 플랫폼과 문화자원을 활용해 국민들에게 문화정보서비스를 확대할 수 있도록 협력할 예정이다.
| 이전글 | [보도자료]한국문화정보원, 코리아VR페스티벌 2018 참가 |
| 다음글 | [보도자료]한국문화정보원, 2018 직지코리아 국제페스티벌 참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