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고

검색
    • 공지사항
    • 입찰정보
    • 계약정보
    • 채용정보
    • 보도자료
    • 행사 및 홍보

보도자료

페이스북 트위터

[센터] 한글날(10/9)부터 한 달간, 전통디자인을 입은 '꼬마버스 타요'와 신나게 달려요

  • 등록일2014-10-08 00:00
  • 조회수7430
  • 작성자 관리자

한글날부터 한 달간, 전통디자인을 입은'꼬마버스 타요'와 신나게 달려요

-10.9(), 국립한글박물관 개관 기념,'한글날, 타요버스 탑승체험'개최-

 

 

한국의 전통디자인DB(데이터베이스)’가 수놓아진 수저로 밥을 먹고, 한글로 디자인된 옷을 입은 시내버스가 시내를 누빈다. 공공데이터의 민간 활용 개방 이래 이 같은 민관 협력을 통한 공공데이터 활용 사례는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전통디자인 DB를 입은 시내버스가 도심을 달린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의 국가DB사업을 수행하는 한국문화정보센터(소장 최경호, 이하 센터)에서는 한글날을 기념하여 전통디자인DB’를 국민들에게 보다 친숙하게 알리고자 꼬마버스 타요캐릭터에 전통문양DB를 접목한 한글날, 버스타요캠페인을 펼친다고 밝혔다.

 

한글날, 버스타요캠페인은 어린이들의 사랑을 받는 꼬마버스 타요캐릭터에 한글과 전통문양이 접목된 디자인을 더한 5대의 버스가 한글날인 109()부터 한 달 동안 서울시내를 누비며 볼거리와 즐거움을 제공하고 나아가 전통문화 디자인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기획되었다.

* 이 캠페인은 한국문화정보센터가 주관하고 국립한국박물관, 한국스마트카드, 아이코닉스, 이건만

에이앤에프,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에서 후원한다.

 

한글날, 버스타요캠페인에 활용되는 디자인은, ‘꼬마버스 타요캐릭터 이외에도 한글 디자이너 이건만 대표의 재능기부를 통해 아름다운 한글에 다양한 색깔과 전통문양이 접목된 디자인으로 재탄생하였다. 이번 캠페인을 통해전통디자인DB’가 국민들에게 보다 친숙하게 알려지고, 나아가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밑거름이 될 전망이다.

 

한글 디자인 이외에도 캠페인에는 우리 민족의 전통이 고스란히 녹아있는 아름다운 전통문양을 적용했다. 이 문양의 디자인 소스는 지난 해 구축된 전통디자인DB’, 정부3.0 개방정책 이후 이용자 수가 두 배 이상 증가해 모바일 앱, 이러닝 콘텐츠, 포장디자인, 제품디자인 등 약 300건 이상의 디자인에 활용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한글날, 버스타요캠페인 첫날인 109()에는 같은 날 열리는 국립한글박물관 개관을 기념해 박물관 앞마당에서 10:00~18:00 한글과 전통문양 옷을 입은 타요버스를 전시하고 퀴즈 등 체험 이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타요버스 탑승체험이외에도 타요버스 이미지 다운로드 받기 이벤트에 참여자 중 선착순 2,000명에게는 전통디자인DB’를 응용한 디자인의 교통카드를 경품으로 제공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문화포털 사이트(www.culture.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문화포털 사이트에서는 106()부터 1019()까지 2주간 전통문양 이름으로 삼행시 짓기박물관 개관 축하 댓글 달기온라인 이벤트를 진행하여, 참가자들 중 추첨을 통해 전통문양 한정판 T머니 교통카드, 스탭백 모자 등 전통문양과 한글에 관련된 다양한 경품을 증정할 예정이다.

 

전통문화DB를 활용한 타요 버스 사진

 

개방된 공공데이터, 자유로운 활용으로 한국적 디자인 가치 높인다

 

한글날, 버스타요캠페인에서 전통문양DB’를 활용하게 된 계기는 지난 2014321()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미래부에서 선정한 국가 DB산업 1차 과제12개 과제 중 하나로 센터의 한국적 산업활용 디자인 DB’ 사업이 선정되었으며, 이후 미래부와 센터는 우리나라 역사문화자료에서 추출한 다양한 전통문양 DB를 디자인 등 민간 기업에서 제품개발 등에 즉시 적용 가능한 형태의 DB로 구축하는 내용의 사업을 주관사업자인 PCN을 통해 추진해왔다.

 

센터는 국가DB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적 산업활용 디자인 DB구축사업을 2005년부터 10여년간 추진해왔으며, 문화재에 내포되어 있는 전통문양을 디지털화한 약 11만 건의 DB를 문화포털 사이트(www.culture.kr)를 통해 서비스하고 있고, 지난해부터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수렴하여 제품군별로 디자인 재가공이 용이하게끔 문화디자인 DB를 신규 구축하였다.

 

전통문양DB’는 최근 지자체 행사에도 활발하게 눈에 띄고 있다. 대표적으로 2014인천아시아경기대회 지자체 홍보관, 다산문화제 전시부스, 부산관광공사가 운영하는 벡스코 내 한복체험관 등에 전통문양DB를 활용한 홍보물이 제공되었다.

 

한편, 센터는 이번 행사를 통해 정부 3.0 정책에 따라 공공정보 개방 및 민간 활용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실제 활용도가 높은 전통문양DB'는 한국을 대표하는 제품개발에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민관 협력을 통한 사례발굴에 앞장 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한국문화정보센터 공공사업부 책임 홍선희(02-3153-2837)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이전글 문화통계발전포럼 2014 개최
다음글 [센터] 외국인 신용카드 국내사용 지출액 현황 분석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