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고

검색
    • 공지사항
    • 입찰정보
    • 계약정보
    • 채용정보
    • 보도자료
    • 행사 및 홍보

보도자료

페이스북 트위터

창조경제의 신성장 동력, 전통문양 디자인 콘텐츠로 이끈다.

  • 등록일2015-02-24 00:00
  • 조회수8349
  • 작성자 관리자

창조경제의 신성장 동력, 전통문양 디자인 콘텐츠로 이끈다.

- 상업적/비상업적 활용이 가능한 전통문양DB 12만여건 무료개방 -

 

 


한국문화정보원(원장 최경호, 이하 정보원)은 우리 문화유산이 가진 전통문양을 디자인 소재로 편리하게 활용 가능하도록 디지털화한 문양 디자인 소스를 11,340건을 추가 구축하고, 문화포털을 통해 무료로 제공한다. (www.culture.go.kr)

 

 

정보원은 2005년부터 현재까지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하 진흥원)의 국가DB사업을 통해 우리고유의 문화재, 고 건축물 등에 내포되어 있는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문양을 추출, 디자인 소재로써 사용이 용이하도록 디지털화된 12만 여 건의 전통문양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서비스하고 있다.

 

창조경제의 밑거름이 될 맞춤형 전통문양디자인 콘텐츠 구축

 

창조경제론을 큰 틀로 새로운 시장과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는 현 정부는 창조경제를 이끌 콘텐츠 산업의 집중 육성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정보원의 국가DB사업(한국적 산업활용 디자인DB)1인 창조기업이나 벤처기업에 디자인소스를 제공해 산업계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창조경제의 신 성장 동력을 가할 대표적인 문화디자인 콘텐츠 구축 사례로 손꼽힌다.

 

이번에 추가 구축된 전통 디자인 문양DB는 창조경제의 밑거름인 산업계의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맞춤형 디자인소스로, 실제 제품군에 손쉽게 적용하거나 재편집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며, 이는 원시문양에 디자인 요소를 가미한 2D, 3D 문화디자인 4,300건과 원시문양자료가 내포한 의미와 상징을 고려하여 스토리텔링이 부가된 2D, 3D 활용디자인 제품적용사례 1,370건으로 구성된다.

 

2D 문화디자인 DB 구축 사례 이미지


<2D 문화디자인 DB 구축 사례>



 

 

개방된 공공데이터, 자유로운 활용으로 산업계 부가가치 높인다

 

전통 디자인 문양DB문화포털에서 누구나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며, 네이버 지식백과’, ‘공공데이터포털’, ‘공공누리사이트등에서도 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디자인계 및 산업계 활용이 더욱 활기를 띌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존에 구축된 전통문양DB를 활용한 민간사례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버스 래핑, 모바일 앱, 이러닝 콘텐츠, 교과서, 포장디자인, 인테리어 소품, 공예품, 생활용품, 행사 디자인 등 여러 방면의 제품군에 적용되어 한국적인 디자인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민간활용 성공사례로 진공젓가락, 숟가락, 방짜유기 등 디자인 식기제작에 전통문양을 적용해 전년 대비 ’13년 매출이 약 20% 증가했다고 밝힌 제이손의 매출 성과를 들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스타 디자이너 이건만의 재능기부로 디자인된 5대의 한글날, 버스타요는 전통문양과 한글이 접목된 대표적인 민관 협력을 통한 공공데이터 활용사례라고 할 수 있다. 14년 한글날을 맞아 시작된 버스 캠페인을 통해 전통디자인DB’가 국민들에게 보다 친숙하게 알려지고, 나아가 창조경제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밑거름이 될 전망이다.

 

(주)제이손의 수저류, 식기류 사진 

  <민간활용사례:(주)제이손의 수저류, 식기류>

 

진흥원과 정보원은 실제 활용도가 높은 전통문양DB가 한국을 대표하는 제품개발에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민관 협력을 통한 사례발굴에 계속 앞장 설 것이라고 강조하며, “앞으로 전통문양 디자인 콘텐츠가 창업기업에 비즈니스 창출의 출발점이자 새로운 일자리 창출 및 창조경제의 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한국문화정보원 공공사업부 부장 양행진(02-3153-2836) 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공공누리
한국문화정보원 이(가) 창작한 창조경제의 신성장 동력, 전통문양 디자인 콘텐츠로 이끈다.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정보원] 문화포털, 2015년 기자단 3기 출범
다음글 문화체육관광 소비자동향지수(CSI) - 2014년 4분기 현황 및 2015년 1분기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