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고

검색
    • 공지사항
    • 입찰정보
    • 계약정보
    • 채용정보
    • 보도자료
    • 행사 및 홍보

보도자료

페이스북 트위터

[정보원] 문화체육관광 기업경기실사지수 조사결과 발표

  • 등록일2015-08-04 00:00
  • 조회수4694
  • 작성자 관리자

문화체육관광 기업경기실사지수 조사결과 발표 


- 2015년 2분기 현황 및 3분기 전망 -


 


 







2015년 2분기 현황지수는 73.1로 전분기 대비 7.2p 하락


2015년 3분기 전망지수는 95.8로 전분기 대비 4.8p 상승


- 산업별: 모든 산업이 2분기 부진, 스포츠산업과 관광산업의 체감경기가 크게 악화


- 업종별: 조사대상 19개 업종 모두 2분기 지수 100 하회, 3분기에는 시각예술업, 영화, 방송산업,


              게임산업, 국제회의 및 전시업 등에서 개선 전망


- 부문별: 2분기 현황 및 3분기 전망 실적 모두 기준치(100) 하회



 


 


한국문화정보원(원장 김소연)3일 문화체육관광산업의 체감경기와 향후 전망을 보여주는 문화체육관광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발표하였다.


 


71일부터 77일까지 문화체육관광 분야 800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경영실적과 향후 계획 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2분기 현황지수는 73.1, 3분기 전망지수는 95.8을 기록했다. 기업경기실사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수치가 100 보다 높으면 경기 호전을 낮으면 경기 악화를 의미하는데, 2분기 현황 및 3분기 전망 지수 모두 기준치(100)를 하회하여 경기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 현황) 체감경기의 부진이 심화


 


지난 2분기 경기상황을 나타내는 현황지수(73.1)는 전분기 대비 7.2p(80.373.1) 하락하여 체감경기의 부진 정도가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 업황BSI : (‘14.2Q)75.5 (3Q)83.9 (4Q)79.8 (’15.1Q)80.3 (2Q)73.1


문화체육관광산업의 2분기 체감경기를 산업별·업종별·부문별로 살펴보면,


 


산업별로는 문화예술산업(76.074.7)·문화산업(76.875.4)·스포츠산업(93.176.0)·관광산업(78.264.3) 모두 전분기에 비해 체감경기가 부진한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특히 스포츠산업과 관광산업이 전분기 보다 크게 떨어지면서 경기 부진의 정도가 심화된 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조사대상 업종(19) 모두 기준치(100)을 밑돌면서 체감경기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스포츠용품업(67.1)·관광숙박업 및 식당업(60.1)·여행사업 및 관광운수업(61.2)·관광쇼핑업(59.6) 등의 경기상황이 크게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부문별로는 매출규모(66.0)채산성(78.0)자금사정(77.1) 등 모든 부문의 실적이 전분기에 비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3분기 전망) 경기 부진에 대한 우려가 다소 완화


 


3분기 경기전망을 나타내는 전망지수는 전분기 대비 4.8p 상승한 95.8을 기록하여 경기 부진에 대한 우려가 다소 완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 전망BSI : (`14.3Q)93.0 (4Q)93.8 (‘15.1Q)89.1 (2Q)91.0 (3Q)95.8


 


문화체육관광산업의 3분기 전망을 산업별·업종별·부문별로 살펴보면,


 


산업별로는 문화예술산업(86.697.3)·문화산업(83.294.0)·스포츠산업(94.995.2)전분기 대비 상승하여 경기의 부진 정도가 완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업종별로는 조사대상 업종(19) 7개 업종의 경기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 가운데, 시각예술업(80.1103.2), 영화·방송산업(92.5108.5), 게임산업(81.1101.4), 국제회의 및 전시업(96.5110.3) 등의 업종이 전분기 대비 크게 상승하여 경기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부문별로는 서비스 및 상품단가를 제외한 모든 부분의 실적이 전분기 대비 상승하였으나, 기준치(100)을 넘지 못하면서 전분기에 이어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한국문화정보원 통계정보부 전진영 책임
 (02-3153-2865)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역은 문화셈터(http://stat.mcst.go.kr) 및 한국문화정보원 홈페이지(http://www.kcisa.kr,


     정보마당정책통계)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이전글 [정보원] 광복 70주년, 청계천과 광화문을 전통문양으로 수놓다
다음글 [정보원] 한국문화정보원, 우리 전통문양을 평면에서 입체서비스까지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