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지사항
- 입찰정보
- 계약정보
- 채용정보
- 보도자료
- 행사 및 홍보
보도자료
[정보원] 요우커들의 맛집 찾기 필수 앱, 레드테이블
- 등록일2015-10-12 00:00
- 조회수5138
- 작성자 관리자
요우커들의 맛집 찾기 필수 앱, 레드테이블
소비력을 갖춘 요우커들이 가장 많이 방문하는 국가는 지리적으로 가까이 있는 한국과 일본이다. 9월말에서 10월초로 이어지는 중국 4대 명절인 중추절(9월26일~9월27일)과 국경절(10월1일~10월7일)에 더 많은 요우커를 유치하기 위해 한국 정부는 블랙프라이데이라는 행사를 진행했다. 문화관광연구원에 따르면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인 관광객 요우커는 2014년 기준 610만 명으로 전체 관광객의 43.9%를 차지했고, 2015년에는 720만 명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한국인과 동일한 소비경험을 하고 싶은 중국인 자유여행객이 증가하고 있으나 한국 음식과 식당에 대한 정보 부족과 인터넷에 떠도는 정보에 대해 불신, 언어의 불편함이 문제가 되고 있다. 또 한국의 외식업체들은 늘어나는 요우커를 위한 중국어 메뉴판과 중국어 가능 직원 등을 채용하는데 비용부담을 느껴 선뜻 투자를 하지 못하고 있다.
세종대학교 호텔관광대 석•박사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된 '레드테이블'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모바일 서비스다. 2014년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에서 대통령상을 받았으며 2015년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정보원에서 추진하는 ‘문화데이터 활용 기업 사업화지원' 사업에 선정됐다. 올해 6월엔 다음카카오 청년창업펀드를 운영중인 동문파트너즈로부터 5억원, 엔젤투자 1억1000만원, 중기청 R&D지원 4억 9000만원 등 총 11억 원의 자금을 유치했다.
레드테이블이 개발한 서비스는 현지인들이 작성한 블로그, 기사, 책 등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 관광객에게 관광객 전용 식당이 아닌 진짜 한국인이 좋아하는 식당과 인기메뉴를 추천해준다.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서비스로 다국어 지원도 한다.
레드테이블은 기술 중심의 회사로 보유하고 있는 다국어 빅데이터 기반 컨텐츠 구축 기술은 기존의 회원제 기반 평가 서비스보다 서비스 속도와 확장성에서 뛰어나다. 레드테이블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발해 새로운 지역에 진출할 때 서비스 구축 비용과 소요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레드테이블 서비스에는 총 6개의 특허 기술(등록 3건, 출원 3건)이 사용됐다. 특히 도해용 대표의 박사논문이기도 한 고객감성 기반 추천 기술은 고객이 작성한 글에서 레스토랑의 이미지를 측정해 소비자에게 가장 적합한 업체를 추천해준다.
최근 내수시장의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외식업체를 위해 레드테이블은 창업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서울에서 가장 인기가 높은 1,000개의 외식업체를 선정하여 다국어 모바일 서비스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스마트기기와 모바일 상거래에 익숙하고 한국인처럼 경험하고 소비하고 싶은 20~30대 중국인 자유여행객을 골목상권으로 적극 유도하고 있다.
레드테이블은 메르스 여파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들을 돕기 위해 매장소개, 메뉴번역 등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중국어, 일본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를 제공해 관광객들이 언어와 문화의 장벽을 넘어서 지역 상권으로 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
회사는 베트남인 개발자와 중국인 컨텐츠 개발자 등 다국적 맴버로 구성돼 있다. 호텔경영, 외식경영, 관광경영 석박사와 컴퓨터공학 석사들이 주축을 이루어 산업에 대한 이해와 학문적 기반을 갖추고 있다. 직접 개발한 알고리즘은 서비스에 적용되기 전에 논문으로 작성해 검증받았다. 관광분야 최대 학회인 관광학회의 학술대회에서 최우수 논문상(빅데이터 분석기법을 이용한 레스토랑 브랜드 개성 측정에 관한 연구, 2013)을 받았으며, 외식분야 최대 학회인 외식경영학회 학술대회에서도 우수논문상 수상(빅데이터 기반 고객구매경험에 관한 연구, 2014)을 수상하였다. 도 대표는 "레드테이블은 철저히 빅데이터 기술에 기반해 만들어져 신뢰도가 매우 높은 서비스다"며 "앞으로 서비스 기술 고도화를 추진해 더 편하고 믿을 수 있는 서비스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한국문화정보원 공공사업부 이슬비주임(☎ 02-3153-2878)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이전글 | [정보원] 한국문화정보원, 2015년 청소년미디어교육 지원 |
다음글 | [정보원] 요즘 뜨는 새로운 트렌드 '한국사랑, 한복사랑, 한글사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