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고

검색
    • 공지사항
    • 입찰정보
    • 계약정보
    • 채용정보
    • 보도자료
    • 행사 및 홍보

보도자료

페이스북 트위터

[센터] 외국인 신용카드 국내사용 지출액 전년대비 23.8% 증가

  • 등록일2014-05-14 00:00
  • 조회수9500
  • 작성자 관리자


외국인 신용카드 국내사용 지출액 전년대비 23.8% 증가!

중국인 카드 국내이용규모, 전년대비 82.7% 증가

국가별 지출액은 중국(48.1%), 일본(18.5%), 미국(9.5%)

스포츠 부문 전년대비 103.2% 증가, 의료 부문 전년대비 60.1% 증가

 

 

문화체육관광부 통계업무 지원기관인 한국문화정보센터(소장 최경호)는 신한카드와 공공·민간자료 상호협조를 통해외국인 신용카드 국내사용 지출액현황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관광, 스포츠, 의료, 문화콘텐츠 등 외국인의 국내 문화소비 지출 경향을 파악하였고, 이를 토대로 향후 외국인의 국내 문화소비 지출 규모 및 동향을 추정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이번 분석에 따르면 외국인이‘13년 국내에서 사용한 신용카드 지출액 합계 78천억원으로 전년대비 23.8% 증가했으며, 특히 7~12월의 지출액 비중이 56.9%로 하반기에 집중되어 있다.

 

국가별 지출액은 중국(48.1%), 일본(18.5%), 미국(9.5%) 순이었으며, 1순위인 중국은 전년대비 82.7%로 큰 증가폭을 보인 반면 2순위 일본은 엔저로 인해 전년대비 22.4% 감소했다. 오스트리아는 ‘129월부터 한-오 수교 120주년기념 워킹홀리데이 비자발급 영향을 받아 전년대비 132.5%로 크게증가하였다.

 

 

업종별 지출형태를 보면 쇼핑(38.7%), 숙박(26.8%), 음식(7.4%)에 대부분 지출되었고 의료 부문 병원 이용에 대한 지출이 전년대비 60.1%로 크게 증가했다.

 


지역별 지출액은 서울(67.6%), 경기(6.7%), 인천(5.7%) 순으로 나타났고, 5순위인 제주는 중국관광객 호황으로 전년대비 54.7%, 9순위인 울산은 노르웨이의 조선소 수주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41.9% 증가했다.

 

 

관광 부문 지출액은 전년대비 20.5% 증가했으며, 업종별로 고가형 백화점(20.9%), 면세점(17.4%)은 그 증가세가 전년대비 둔화되었고 전국에 고루 분포되어 있는 저가형 할인마트(37.9%) 및 패션잡화점(31.0%)의 증가세가 전년대비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때 생필품 등 쇼핑아이템이 다양화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스포츠 부문 지출액은 전년대비 103.2% 증가했으며, 업종별 비중은 실외골프장(63.0%), 스키장(12.7%), 종합레저타운(11.2%)의 순이며 경기(47.7%), 제주(19.5%), 강원(14.7%)에서 주로 지출했다. 스키장은 강원 (95.0%)에서 중국인(34.1%)에 의한 지출이 많았다.

 

 

의료 부문 지출액은 전년대비 60.1% 증가했고, 특히 종합병원(57.2%)과 성형외과(77.6%)에서의 지출이 크게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러시아인의 지출액이 전년대비 50.5%로 그 증가세가 두드러졌으며, ‘14년 한-러 상호 비자 면제 협정을 통해 의료 분야의 교류는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문화콘텐츠 부문 지출액은 전년대비 28.3% 증가했다. 영화·공연·콘서트 등의 문화공연에 대한 지출액은 전년대비 43.1% 증가, 인해 음반 및 음원에 대한 지출액 역시 전년대비 46.5%로 지속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최경호 한국문화정보센터 소장은 이번 분석 결과를 통해 관광, 스포츠, 의료, 문화콘텐츠 등 외국인의 문화체육관광 분야 국내소비 지출 특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외국인 신용카드 국내사용에 관한 월별, 연간 지출액에 대한 분석을 지속적으로 시행 하겠다.”고 밝혔다.

 

이 자료가 외국인 문화지출 동향 파악 및 외국인 문화체육관광 수입 증대를 위한 대안 마련 등에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한국문화정보센터 통계개발부 임종덕 책임(02-3153-2864)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이전글 [센터] 문체부, 문화 분야 공공데이터 민간 포털에서도 서비스 추진
다음글 [센터] 문화체육관광 소비자동향지수 조사결과 발표